본문 바로가기

아이스포그의 오늘/오늘의 팁

RSS의 모든 것 <1부>, RSS의 기본 개념과 이해

RSS의 모든 것 <1부>,  RSS의 기본 개념과 이해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가장 이해하기 힘든 개념이 ‘RSS’일 겁니다. RSS란 단어는 하나인데 여기저기서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는 것도 같고 도통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사적인 공간으로만 블로그를 이용할 분들이야 크게 상관이 없겠지만 방문자 수를 늘리고 블로그를 키우려는 분에게는 ‘RSS’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하니 무시할 수도 없죠.

 

  그래서 이번 포스트, ‘RSS의 모든 것' <1>에서는 RSS의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해 볼까 합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2부에서는 ‘RSS 설정법과 포탈사이트 RSS 등록법, 3부에서는 네이버 RSS 등록 거부시 대처 방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SS의 정의



   RSS의 사전적 정의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또는 풍부한 사이트 요약입니다. 그런데 이런 사전적 정의는 헷갈리기만 할 뿐, 이해하는 데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죠.

 

  RSS는 쉽게 말해, 이메일(E-mail)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블로그 전용 이메일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우리가 블로그에 새로운 글을 작성할 때, 자동으로 그 글을 ‘RSS 구독자에게 발송해 주어서 블로그를 방문하지 않고도 글을 읽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가 RSS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면, 구독을 원하는 사람들은 ‘RSS 구독기라는 프로그램에 해당 블로그의 RSS 주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그러면 왜 RSS를 사용해야 할까요? 블로거 입장에서는 득이 될 것이 없어 보이는데 말이죠. RSS로만 글을 읽는다면 블로그를 직접 방문해서 글을 읽는 방문자 수는 줄어들 텐데 말이죠.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파급효과로 인한 방문자 증가



  첫 번째 이유는 RSS가 가지고 있는 파급효과 때문에 오히려 방문자들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대개 RSS로 블로그를 구독하는 사람들은 일반 방문자보다는 전문 블로거들이 많습니다. 전문 블로거들이 구독을 하게 되면 이들이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방문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홍보가 되어 새로운 방문자들이 유입될 수 있는 거죠. 게다가 이들을 통해 유입된 방문자를 통해 또다시 홍보가 되고, 유입이 되는 과정이 끊임없이 반복되면서 엄청난 파급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이런 면에서 보면 RSS는 블로그 내의 SNS 기능인 셈이죠.


  그러나 주의할 점은 RSS가 항상 이렇게 긍정적인 효과만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가십성 정보나 최신 이슈를 주로 다루는 블로그에서는 RSS의 파급 효과는 거의 보지 못하고 도리어 방문자 수만 감소할 수 있습니다. 가십성 정보나 최신 이슈들은 호기심을 끌기는 하지만 사람들의 머릿속에 좋은 정보, 좋은 글이라고 인식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RSS를 통한 홍보와 유입 효과는 거의 없고 RSS 구독자 수만큼 방문자 수만 감소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이런 정보를 주로 다루는 블로그에서는 RSS‘전체 공개가 아닌 부분 공개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부분 공개를 하면 글의 제목과 일부 내용만 보여지기 때문에 나머지 내용이 궁금하다면 링크를 통해 해당 블로그를 직접 방문해서 읽어야 하죠. 물론 부분 공개‘전체 공개보다 유입률이나 홍보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앞서 말한 최신 이슈나 가십성 정보를 주로 다루는 블로그가 아니라면 ‘전체 공개로 설정하는 편이 낫습니다.



정리하면 가십성’, ‘최신 이슈등의 글에는 RSS ‘부분공개가 적합하고

그 외에 리뷰’, ‘일상등의 독창성과 주관성이 많이 담겨 있는 글과

비평’, ‘칼럼처럼 정보성이 많은 글에는 RSS ‘전체공개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포탈사이트 검색 노출



 

  두 번째 이유는 포탈사이트에 자신의 사이트를 노출 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다음이나 구글, 네이트에 자동적으로 노출이 되지 않습니다. 오직 네이버에서만 노출이 되죠. 다음이나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특정 포탈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서비스는 다른 포탈사이트에서는 노출이 되지 않죠. 다른 포탈사이트에도 검색이 되기 위해서는 열심히 포스팅을 해서 블로그지수를 높이거나 직접 해당 포탈사이트에 RSS 등록을 해야하죠. 하지만 블로그지수를 단시간에 높일 수는 없으니 다른 포탈사이트에 자신의 블로그를 노출시키려면 RSS 등록을 해야만 합니다.

 

  아마 여기서 포탈사이트 RSS 등록이란 개념이 혼란스러울 수도 있으실 겁니다. 아까 앞에서 설명했던 RSS의 개념과 차이가 있는 것 같이 들리죠. 앞에서 RSS는 이메일, SNS 등과 비슷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블로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손쉽게 새로운 글을 받아볼 수 있는 기능이라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그러니 포탈사이트에 RSS를 등록한다는 것이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실 겁니다.


 



  하지만 포탈사이트‘RSS 구독자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가 쉬우실 겁니다. 사람이 블로그에 방문하지 않고 손쉽게 정보를 얻어가기 위해 RSS 기능을 이용하는 것처럼 포탈사이트도 같은 맥락입니다. 포탈사이트도 수많은 블로그들의 글을 직접 읽어들이지 않고 방대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RSS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죠.

  다만 사람은 직접 RSS 주소를 RSS 구독기에 추가할 수 있지만 포탈사이트는 기계이기 때문에 블로그 운영자가 포탈사이트가 RSS 주소를 추가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그 과정이 ‘RSS 등록인 것이죠.

 

  이렇게 ‘RSS 등록을 통해 포탈사이트가 RSS 주소를 추가하면 해당 포탈사이트는 RSS 주소를 추가한 블로그의 글을 읽을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포털사이트는 자신이 읽은 내용의 일부를 검색하는 사람도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즉 앞서 말한 부분 공개’ 형태의 RSS를 제공하는 셈입니다. 검색하는 사람이 글의 제목이나 일부 내용을 보고 해당 글을 클릭하면 해당 블로그로 직접 연결시켜 주는 것이죠.


  이렇듯 RSS 기능은 입소문으로 블로그 방문자 수를 늘리고, 포탈사이트에서 자신의 블로그를 노출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그럼 당연히 RSS의 활용법도 잘 알아놔야 겠죠? 2부에서는 ‘RSS 설정법과 포탈사이트 RSS 등록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3/12/30 - RSS의 모든 것 <2부>, RSS 설정법과 포탈사이트 RSS 등록법

 

     2014/01/03 - RSS의 모든 것 <3부>, 네이버 RSS 등록 거절 시 해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