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의 모든것 <2부>, RSS 설정법과 포탈사이트 RSS등록법
이번 <RSS의 모든 것> 2부에서는 RSS 설정법과 포탈사이트 별 RSS 등록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SS의 기본 개념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1부에서 다루고 있으니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RSS의 모든 것 <1부>, RSS의 기본 개념과 이해
|
블로그 별 RSS 설정법 |
1) 티스토리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상단에 있는 메뉴에서 ‘My’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관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보여집니다.
왼쪽 메뉴에서 ‘글 설정’ 메뉴를 누른 뒤, 오른쪽 화면 하단을 보면 ‘공개정책’ 이란 메뉴에 RSS 설정이 있습니다. 1번에서는 공개글 발행글 중 어느 것에 RSS를 적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잘 모르겠으면 발행글에 체크하도록 합니다.
2번은 RSS 글을 ‘부분공개’할 건지 ‘전체 공개’할 건지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1부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가십성 기사’, ‘최신 이슈’ 등의 글에는 RSS ‘부분공개’가 적합하고 그 외에 ‘리뷰’, ‘일상’ 등의 독창성과 주관성이 많이 담겨 있는 글과 ‘비평’, ‘칼럼’처럼 정보성이 많은 글에는 RSS ‘전체공개’가 적합니다. 자신의 블로그 성격에 맞춰 설정해 주세요.
그리고 ‘전체공개’ 버튼 오른쪽을 보면 RSS 글 개수를 설정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RSS 주소에서 몇 개의 글까지 보여줄 것인지를 묻는 것이죠. 예를 들어 5개로 설정해 놓으면 RSS 주소에서는 최근 작성한 5개의 글만 보여집니다. 개수가 많게 설정할수록 RSS 등록이 편하니 ‘30개로 갱신’을 선택해 주세요. 이제 하단의 ‘저장’ 버튼을 눌러주면 RSS 설정이 모두 끝이 납니다.
2) 네이버 블로그
자신의 블로그로 들어간 뒤, ‘내 메뉴’를 클릭하면 나오는 ‘관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상단 메뉴에서 ‘메뉴 글관리’를 클릭한 뒤, 왼쪽 메뉴에서 블로그를 클릭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보여집니다.
네이버의 RSS 설정은 티스토리와 달리 ‘부분 공개’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RSS를 ‘부분 공개’로 설정하는 사람들은 상관이 없지만, ‘전체 공개’로 설정하고 싶은 사람들은 불편한 점이 아닐 수 없죠.
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는 게시판마다 RSS 설정을 따로 할 수 있습니다. 왼쪽의 게시판 목록에서 공개하고 오른쪽 메뉴의 ‘공개설정’에서 ‘공개’로 설정해 놓으면 RSS 발행이 됩니다. 아래 ‘주제 분류는’ RSS 발행시 해당 게시판을 어떤 주제로 분류할 것인지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주제에 맞게 선택하시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RSS 설정이 끝납니다.
|
포탈사이트 RSS 등록하기 |
역시 1부에서 언급했다시피 포탈사이트에 RSS 등록을 하는 이유는 검색을 통해 방문자를 유입되게하기 위해서입니다. RSS 등록을 해야하는 주요 포탈은 네이버, 다음, 네이트, 구글 이렇게 네 군데입니다. 이중에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블로그가 속한 포탈사이트가 있다면 그곳을 제외한 나머지 세 곳에 RSS 등록을 해주시면 됩니다.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네이버를 제외한 나머지 세 군데에, 다음이나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다음을 제외한 나머지를 세 군데에 등록하는 거죠. 그리고 이글루스나 싸이월드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네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세 군데에, 구글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구글을 제외한 나머지 세 군데에 등록하시면 됩니다.
1) 네이버 RSS 등록
여기 링크를 클릭하신 뒤, 아래 설명대로 RSS 등록 신청을 해주세요. 링크를 클릭했다면 위의 이미지같은 화면이 나올 겁니다. 여기서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문의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이렇게 아래쪽으로 ‘문의내용 작성’ 이란 내용이 새로 생깁니다. 네이버 아이디가 있으시면 로그인해 주시고 아니면 연락받을 이메일을 입력해야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아래 스크린샷과 같이 입력했습니다. 이를 참고하셔서 블로그 주소와 제목, 내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RSS 주소의 경우에는 굳이 적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블로그 RSS 주소는 보통 블로그 주소 아래 ‘rss’가 붙은 형태입니다.
ex)
블로그 주소: http://icefog.tistory.com/
블로그 RSS주소: http://icefog.tistory.com/rss
블로그 주소에 rss를 붙여 인터넷 주소 창에 입력했을 때, 자신의 블로그에 있는 글이 정상적으로 보여지면 올바른 RSS 주소입니다.
2) 다음 RSS 등록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음 RSS 등록으로 연결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다음 아이디가 있으면 로그인해 주시고 없으면 기본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다음 아이디가 없으시면 화면 위쪽의 빨간 박스로 표시한 ‘이름’ 과 ‘답변 받으실 E-mail(이메일)주소’를 입력하시고 아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부분에 체크해주세요. 다음 아이디가 있어서 로그인 하셨다면 이 부분이 사라지게 되니 아래 설명으로 바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여기서 이미지처럼 ‘문의분류’를 <블로그, 카페검색 문의>와 <내 블로그 검색(RSS) 문의>로 설정해 주세요. 제목에는 RSS 등록을 신청한다고 적고, 내용에는 해당 부분에 블로그 주소와 블로그 RSS 주소, 간단한 RSS 등록 신청 메시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3) 네이트 RSS 등록
네이트는 여기 링크에서 RSS 등록하시면 됩니다. 먼저 홈페이지 주소와 홈페이지 제목을 적어주세요. 설명에는 블로그 주제가 어떤 것이고 어떤 글이 올라오는 지 등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책과 영화를 리뷰하는 블로그입니다.’ ‘최신 이슈와 기사를 주로 다루는 블로그입니다.’, ‘일상 이야기를 주로 다루는 블로그입니다.’ 같은 내용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이제 사이트 구분에 ‘개인’을 홈페이지 주요표시 언어에 ‘한글’을 체크한뒤, 메일 주소만 적으면 해당 내용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4) 구글
구글은 정말 간단합니다. 여기 링크를 따라가시면 위의 이미지처럼 화면이 나옵니다. 빨간 박스로 표시된 부분에 블로그 주소 또는 블로그 RSS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어느 것이든 상관없습니다. 이후에 ‘블로그 전송’ 버튼만 눌러 주시면 됩니다.
RSS 등록을 한다고 무조건 포탈사이트에 블로그가 노출되지는 않습니다. 구글과 네이트는 대부분 등록해주는 편이지만 다음은 약간 선별해서 등록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네이버는 매우 까다로워서 양질의 포스팅을 한다고 해도 RSS 등록을 거절 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이어질 3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013/12/28 - RSS의 모든 것 <1부>, RSS의 기본 개념과 이해
2014/01/03 - RSS의 모든 것 <3부>, 네이버 RSS 등록 거절 시 해결법
'아이스포그의 오늘 > 오늘의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팟플레이어 통합자막 이상? 언어별 위치가 바뀌는 오류 (0) | 2014.02.13 |
---|---|
RSS의 모든 것 <3부>, 네이버 RSS 등록 거절 시 해결법 (2) | 2014.01.03 |
RSS의 모든 것 <1부>, RSS의 기본 개념과 이해 (2) | 2013.12.28 |
하이브리드, 하이엔드? 어떤 카메라를 사야할까? 디카 고르는 법 (0) | 2013.12.12 |
다음 팟플레이어 곰플레이어처럼 설정하기 - 소리증폭, 자막 설정 해결법 <2부> (1) | 2013.11.13 |